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at
- 포트중복
- 리눅스
- 리눅스 디렉토리
- 안드로이드
- 리눅스 소유권
- 안드로이드 어플
- 실행시 문자
- chown
- port 중복
- ls
- 리눅스 사용자
- 리눅스 사용자 제한
- mysql 기본관리 db
- 리눅스 네트워크
- 포트중복 오류
- 리눅스 소유권 변경
- 리눅스 패키지
- 스타일선택자
- mysql 패키지
- Linux
- Spring Boot
- 주석
- MySQL
- mysql 기본관리 db 생성
- linux mysql
- yum
- Spring Boot port 변경
- Spring Boot version
- 스타일 선택자
- Today
- Total
목록Linux Server (24)
Central-IT의 프로그래밍 이야기
리눅스를 종료하거나 재부팅하는 것 또한 명령어로 제어된다.Windows운영체제와는 다른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GUI와 관련된 부분으로 리눅스의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 생각한다.리눅스 운영체제에서도 GUI방식을 사용하고 싶다면 X-Window라는 것을 찾아보는 것이 좋다. 다시 이번 포스팅으로 넘어와 init프로세스하는 게 리눅스에는 존재한다.리눅스 부팅과정에서 시스템을 어떻게 작동할 것인가 결정해주는 프로세스라 할수있다.이 init 프로세스를 통해 리눅스를 재부팅하고 종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리눅스의 재부팅과 종료는 간단하다.리눅스를 재부팅하기 위해서는 콘솔창에 init 6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시스템이 재부팅된다.리눅스 시스템을 종료하는 방법도 이와 비슷하게 init 0이라는 명령어를 사..
리눅스 사용시 디렉토리를 이동, 복사, 삭제 등 다양한 행동들이 필요하다.다음 표는 디렉토리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정리한 표다.디렉토리 관련 명령어의 사용법의 예로 mkdir [옵션] 디렉토리명 명령어 옵션 설명 mkdir 디렉토리 생성 p 지정된 상위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같이 생성 rmdir 비어있는 디렉토리 삭제 rm f 강제 삭제 r(R) 하위 디렉토리 내용까지 모두 삭제 mv 파일의 이름을 바꾸거나 이동하는 명령어로 디렉토리가 같은 경우 이름을 변경, 디렉토리가 다른 경우에는 이동 pwd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출력(절대주소) cd 명령어 이후에 오는 디렉토리명으로 이동 cd..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touch 빈파일 생성(덮어쓰기 X ) rm명령어는 디렉토리 뿐 아니라 파일 또한 삭제 할 ..
처음 리눅스를 접한다면 사용하는데 있어 상당히 당황스러울 때가 많을 것이다.그중 vi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필자도 처음 vi를 접했을 때 글쓰는 방법, 저장하는 방법들을 몰라 당황했던 경우가 자주 있었다.그 마음을 담아 vi의 기본 명령어와 단축키에 대한 정리를 해보았다. ※ 명령어 명령어 설명 a 편집모드 진입 : 현재 커서 뒤부터 입력 i i 편집모드 진입 : 현재 커서 앞에서 입력 a o 커서 아래에 빈 줄 삽입 후 편집 모드 진입 O 커서 위에 빈 줄 삽입 후 편집 모드 진입 R 덮어쓰기 dd 현재 커서의 행 삭제 or 잘라 내기 ndd 현재 커서부터 n만큼의 행 삭제 or 잘라 내기 u 삭제 취소 yw 커서 위치부터 단어의 끝까지 복사하기 y0 커서 위치부터 줄의 처음까지 복사하기 y$ 커서 ..
1. cp 명령어리눅스에서 디렉토리나 파일을 복사할때는 cp 명령어를 사용한다.cp 명령어의 사용 형태는 cp [옵션] 원본 사본 으로 구성된다.아래사진은 cp 명령어를 사용한것이다.먼저 ls명령어로 현재 디렉토리 파일들을 확인 하자.a.txt라는 파일이 존재하는 것을 볼수 있다.이것을 cat명령어를 이용하여 a.txt를 열어보자. 파일의 내용이 보일 것이다.cp 명령어를 사용하여 a.txt를 copy.txt로 복사해보자cp a.txt copy.txt 라고 입력하면 a.txt 파일이 copy.txt라는 파일이 생성되고 cat 명령어로 파일 내부를 열어보면동일한 파일임을 확인 할수 있다. cp 명령어는 동일 디렉토리 뿐만 아니라 절대경로와 상대경로를 사용한 복사도 지원한다는 것을 알아두면 좋을 것이다. ※..
cat이라는 명령어로 파일내부를 보았을 때파일내용이 많을경우 다음 사진과 같이사용자가 글을 읽기도 전에 이전글들이 사라진다. 1. cat install.log | more- 내용이 한 화면을 넘쳐서 보지 못할 때 cat 명령어와 함께 more명령어를 하면 한줄씩 또는 한페이지씩 글을 볼수 있다. 아래사진과 같이 more를 같이 사용하게 되면 화면 왼쪽 아래편에 --More-- 라는 게 있는 것을 볼수 있따.이말은 의미 그대로 내용이 아직 더 남아있다는 얘기다. 2. Enter 키 입력- More가 표시된 화면이 출력되고 있을 시에 Enter(엔터)키를 입력하면 한줄씩 더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있다.다음사진은 Enter키를 2번입력했을 때의 사진이다. 3. Space 키 입력- More가 표시된 화면이 ..
cat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파일의 내부를 간단하게 보여주는 명령어다.cat의 사용법은 창에서 cat [옵션] 파일이름 의 형태로 사용된다. 1. cat a.txt 홈디렉토리에 미리 만들어 놓은 a.txt가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cat > a.txt>은 리다리렉션 연산자로 기존에 파일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새롭고 만들고 파일이 존재하였다면 덮어쓰기를 한다.다음의 사진은 위의 사진과 달리 파일이 덮어쓰여 진것을 확인할 수있다.cat > a.txt라 명령어를 치면 내용을 입력할 수있게 된다.만약 내용물을 다 채웠다면 Ctrl + C를 누르면 저장이 된다.여기서 주의할 점은 반드시 마지막에 엔터를 한번 더 입력한후 Ctrl + C를 입력해야한다는 것이다.Ctrl + C를 입력하는 줄은 저장이 되지 ..
리눅스에서는 ls -l과 동일한 출력 나타내는 명령어가 존재한다.바로 ll 명령어 이다.ls -l을 간단하게 ll(엘엘) 이라는 명령어로 대체해서 사용 가능하다. 1. ls -l 2. ll
X-window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텍스트기반의 기본적인 Linux 라면 GUI를 제공하지 않는다.그러므로 Windows계열 운영체제처럼 폴더들을 볼수 없어 디렉토리의 내용, 권한 등 정보들을 쉽게 알수 없다.하지만 리눅스에서도 디렉토리의 정보를 볼 수있도록 ls라는 명령어를 제공해준다.ls 명령어는 현재 디렉토리뿐만 아니라 다른 디렉토리의 정보도 볼 수있다.ls의 앞글자는 대문자 아이( I )가 아니라 소문자 엘( l ) 이라는 것을 명심하자. ls의 사용은 간단하다. ls [옵션] [디렉토리 위치] 리눅스에서 대부분의 옵션은 중복으로 사용가능하다.ls 명령어의 옵션들은 여러가지가 존재하며 그 중 -a, -l 옵션에 대해 알아본다. 1. ls옵션이란 것은 말그대로 옵션이다.있어도되고 없어도 된다는 의..
리눅스의 버전, 즉 리눅스의 커널 버전에 대해서 알아봅니다.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리눅스의 버전에 대해 알고 있으면 유용할 때가 있다. ▶ 리눅스 커널은 다음과 나타난다. Linux-a.b.c.tar.gz 리눅스는 위치별로 각각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a : 주버전b : b가 홀수이면 베타버전 짝수이면 안정버전c : 버그 수정 횟수 ▶ 리눅스의 커널 버전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5가지 정도가 있다.1. uname -r 2. cat /proc/version 3. last reboot or last reboot | head -1 4. rpm -qa kernel 5. yum list installed | grep ^kernel
vi(vim)에서 편집을 하다보면 라인 넘버링이 안되어 있어 불편한 경우가 있다.이때 vi설정으로 라인넘버링을 줄수 있다. 1. etc에 있는 vi 설정파일인 vimrc를 열어서 수정해준다. - vi /etc/vimrc 2. 아래의 화면에서 i, a를 눌러 편집모드로 들어간다. 3. endif 밑에 설정값을 추가하고 저장한후 나온다.(esc -> :wq) - set nu syntax on 4. .bashrc 파일을 열어 수정한다. - vi ~/.bashrc 5. 아래의 화면에서 i, a를 눌러 편집모드로 들어간다. 6. alias vi='vim'을 추가하고 저장한후 나온다.(esc -> :wq) - alias vi='vim' 7. 방금 수정한 .bashrc 파일을 실행시켜준다. - source ~/.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