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포트중복
- Linux
- 리눅스 사용자
- 리눅스 디렉토리
- 리눅스 패키지
- linux mysql
- 포트중복 오류
- mysql 패키지
- mysql 기본관리 db
- ls
- 리눅스 소유권 변경
- 안드로이드 어플
- MySQL
- Spring Boot
- chown
- cat
- 안드로이드
- Spring Boot version
- yum
- 스타일선택자
- Spring Boot port 변경
- 실행시 문자
- port 중복
- 리눅스 네트워크
- 리눅스 소유권
- 리눅스
- 스타일 선택자
- 주석
- 리눅스 사용자 제한
- mysql 기본관리 db 생성
Archives
- Today
- Total
Central-IT의 프로그래밍 이야기
[CSS] 스타일 적용을 위한 CSS 선택자 본문
반응형
CSS 선택자란?
HTML 작성시 디자인을 위해 각 요소에 크기, 색상 등 스타일 적용 대상을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의 HTML 코드를 참고하여 선택자를 살펴보자.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 선택자</title>
</head>
<body>
<p class="txt title">Central-IT1</p>
<div class="txt" id="txt1">
<p>Central-IT</p>
<div>
<p>Central-IT</p>
</div>
</div>
<p class="txt title">Central-IT2</p>
<div class="txt">
<p>Central-IT</p>
<div>
<p>Central-IT</p>
</div>
</div>
<div id="content">
<ul>
<li><a class="portal" href="http://www.daum.net">다음</a></li>
<li><a class="portal" href="http://www.naver.com">네이버</a></li>
<li><a href="http://www.google.com">구글</a></li>
<li><a href="http://www.nate.com">네이트</a></li>
</ul>
</div>
</body>
</html>
1. 일반 선택자
선택자 종류 | 표시방법 | 표시 예 | 설명 |
전체선택자 | * | * | 전체 요소를 선택 |
태그선택자 | 태그 | div | 태그의 이름으로 선택 |
class 선택자 | 태그.클래스명 .클래스명 |
div.txt .txt |
클래스명으로 선택 |
ID 선택자 | 태그#ID명 #ID명 |
div#txt1 txt1 |
ID 명으로 선택 |
자손선택자 | 선택자1 선택자2 | .txt p | 선택자1의 자손인 선택자2를 선택 |
자식선택자 | 선택자1 > 선택자2 | .txt > div | 선택자1의 자식인 선택자2를 선택 |
인접형제 선택자 | 선택자1 + 선택자2 | .title + #txt1 | 선택자1 바로 뒤에 오는 선택자2를 선택 |
일반형제 선택자 | 선택자1 ~ 선택자2 | .title ~ div | 선택자1 뒤에 오는 선택자2를 선택 |
속성선택자 | 태그[속성] | a[href] | 해당 속성을 가진 태그를 선택 |
태그[속성="값"] | a[href="/index"] | 해당 속성의 값을 가진 태그 선택 | |
태그[속성*="값"] | a[href*="detail"] | 속성의 값이 지정한 값을 포함하고 있는 태그선택 | |
태그[속성^="값"] | a[href^="http"] | 속성의 값이 지정한 값으로 시작하는 태그선택 | |
태그[속성$="값"] | a[href$="com"] | 속성의 값이 지정한 값으로 끝나는 태그선택 |
2. 가상클래스
종류 | 표시방법 | 표시 예 | 설명 |
구조적 | 선택자:first-child | .txt:first-child | 부모의 첫번째 자식인 선택자를 선택 |
선택자:last-child | .txt:last-child | 부모의 마지막 자식인 선택자를 선택 | |
선택자:nth-child(숫자) | .txt:nth-child(1) | 부모의 n(숫자)번째 자식인 선택자를 선택 | |
선택자:nth-last-child(숫자) | .txt:nth-last-child(1) | 부모의 뒤에서 n번째 자식인 선택자를 선택 | |
선택자:first-of-type | .txt:first-of-type | 같은 유형의 첫번째 형제인 선택자를 선택 | |
선택자:last-of-type | .txt:last-of-type | 같은 유형의 마지막 형제인 선택자를 선택 | |
선택자:nth-of-type(숫자) | .txt:nth-of-type(1) | 같은 유형의 n번째 형제인 선택자를 선택 | |
선택자:nth-last-of-type(숫자) | .txt:nth-last-of-type(1) | 같은 유형 중 뒤에서 n번째 형제인 선택자를 선택 | |
선택자:empty | .txt:empty | 자식이 없는 선택자를 선택 | |
행동 | 선택자:active | .txt:active | 선택자를 마우스로 클릭할 때 |
선택자:hover | .txt:hover | 선택자 위로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 놓을 때 | |
선택자:focus | .txt:focus | 선택자에 초첨이 맞춰질 때 | |
링크 | 선택자:link | .portal:link | 방문 전 선택자(a 태그)를 선택 |
선택자:visited | .portal:visited | 방문 후 선택자(a 태그)를 선택 |
반응형
Comments